청주 폐기물업체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작업 후기

청주 폐기물업체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작업 후기

오늘은 충청북도 청주에 위치한 폐기물업체를 방문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를 진행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환경 보호와 수질 개선을 위해 중요한 시설인 만큼, 철저한 유지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비점오염원이란?

비점오염원(Non-Point Pollutant Source)은 점오염원의 상대적 개념으로,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등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원을 의미합니다.

구분 비점오염원 점오염원
배출원 - 대지,도로,논,밭,임야 중의 오염물질 - 공장,가정하수,분뇨처리장,축산농가 등
특징 - 인위적 및 자연적
- 배출지점이 불특정, 불명학
- 강우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큼
-모으기 어렵고 처리효율 확인 어려움
- 인위적
- 배출지점이 특정/명학
- 차집관거를 통해 한 지점으로 집중적      배출량의 차이가 일정함
- 모으기가 용이하고 처리 효율이 높음

 

주요 비점오염물질
- 토사(Sediment)
- 영양물질(Nutrient)
- 금속(Metals)
- 유기물질(Organics)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Bacteria & Viruses)
- 기름과 그리스(Oil & Grease)
- 농약(Pesticides)
- 협작물(Gross Pollutants)

비점오염저감시설이란?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질오염 방지시설을 말합니다.

비점오염저감시설에는 크게 자연형과 장치형이 있으며, 이번에 유지관리한 시설은 장치형입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장치형 사진

비점오염저감시설 장치형 점검 과정

위치: 폐기물처리장 한쪽에 설치된 비점오염저감시설 장치형
구성:
- 전처리조 → 역세조 → 처리수조

 

1. 유입부 월류웨어 점검
- 초기 우수가 시설로 원활히 유입되는지 확인.
- 월류웨어가 파손되면 미처리 방류 발생 위험이 있어 점검이 필수.
- 월류웨어 전단에 토사가 퇴적되었는지 확인하여 유입구 막힘 방지.
먼저 유입부쪽에 월류웨어를  체크합니다.

 

 

2. 전처리조 & 역세조 점검
- 전처리조 상태 확인 후 역세조 점검.
- 역세조는 여과여재를 통해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중요한 부분
- 여재가 폐색되면 초기 우수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미처리 방류 발생 가능.
- 필요 시 여과여재 교체 여부 결정.

 

3. 비점오염저감시설 제어판 점검
- 전체적인 작동 여부 확인.
- 역세 브러워, 역세 배수펌프, 전처리 배수펌프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여과조에서 장치가 정상 가동되는지 육안점검 실시.

 


4. 방류조 육안점검 및 최종 유지관리
- 방류조 상태 확인 후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마무리.
방류조도 육안점검을 실시해서 이상 없는지 확인하고 유지관리를 마무리합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를 하지 않으면?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법적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행명령 대상 (법 제53조 제6항 및 제7항)
- 비점오염저감계획서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 시설의 설치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 관리·운영 기준을 지키지 않은 경우
- 관리자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 강우 전후 점검 결과를 관리·운영대장에 기록하지 않고 2년간 비치하지 않은 경우
법적 처벌 (법 제53조 제5항 및 영 제75조)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법 제78조)
-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법 제82조 제1항, 영 별표 18)

즉,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는 단순한 점검이 아니라 법적으로도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대장 작성

청주 폐기물업체에서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반드시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대장을 작성해야 합니다.
- 유지관리 내역 기록
- 점검 결과 및 조치 사항 정리
- 차후 점검 일정 계획
이렇게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면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업무가 완료됩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 문의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 번호로 문의해 주세요!
문의 전화 : 032-233-7579